실리콘벨리의 전성기가 돌아왔다. 고속도로 101번을 따라 사무실 단지들이 다시한 번 희망에 찬 스타트업의 휘장들로 장식되고 있다. 타호 호수 (Lake Tahoe) 주변의 멋진 베케이션 홈 리조트의 수요증가에 따라 가격이 오르듯, 사무실 렌트비용도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베이(Bay) 지역은 반도체 산업의 발상지 였으며, 그 이후, 컴퓨터 인터넷 회사들이 생겨나고 성장해왔다. 터치스크린 전화로 대형 도서관에서 즉시 손쉽게 할 수 있는 도서검색 부터 수천마일 떨어진 무인 항공기 드론을 조정할 수 있을정도로 세상을 미래 지향적으로 느낄 수 있는 놀라운 마법을 이루어낸 곳이다. 2010년 이래로 진행되어 온 경제활동의 부흥은 더 진보적으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실리콘 벨리는 이미 정체되어 있으며, 수십년간 그 혁신의 속도가 둔화되어 왔다고 생각했던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놀랄일이 아닐 수 없다. 페이팔의 창립자이자 페이스북의 첫 번째 외부 투자자인 피터 티엘 (Peter Thiel) 은 미국의 혁신이 “지독한 궁핍 혹은 죽음 사이의 어딘가”라고 한다. 모든 분야의 엔지니어는 유사한 실망감을 공유하고 있다. 작지만 더 그 세력이 더 커지고 있는 경제학자들은 오늘날의 혁신이 가진 경제적 영향이 과거와 비교해서 미비하다고 여길 수 있다고 말한다.
[...]
전체적으로 분야를 막론하고, 돈이 적게 드는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컴퓨터는 자연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시작단계에 와있다. 사람들은 신체 운동만으로도 비디오 게임을 제어한다. 이는 곧 더 많은 비즈니스 세계에서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3차원 인쇄는 점점 훨씬 더 복잡한 물체 배열상에 상용화되어, 곧 인간 신체조직과 다른 유기 물질로 그 사용이 이루어 질 것이다.
혁신 비관론자는 이것을 “실현될 수 없는 장미빛 미래 (Jam Tomorrow)”로 폄하한다. 그러나 기술 중심의 성장이 흥망성쇠 하는 것이 아닌, 계속 꾸준히 흥하거나 혹은 계속 쇠퇴한다는 생각은 역사와는 상충한다. 시카고 대학의 채드 사이버슨 (Chad Syverson) 은 전기화 시대의 생산성 성장은 오르락 내리락했었다고 한다. 19 세기 후반, 중요한 전기 혁신이 있던 기간동안 성장세는 느렸다. 그러나,20 세기 초에는 성장이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