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밸리에 다시 부흥이 찾아왔다. 101번 국도 인근 오피스 단지는 희망을 품고 찾아오는 스타트업의 성지로 다시 자리잡고 있다. 임대료는 치솟아 올라서, 부자들의 돈벌이 상징인 타호 호수 주위 리조트 타운의 성수기 별장 하나에 맞먹을 정도가 되었다. 베이 지역에서 자라난 반도체 및 컴퓨터 산업과 인터넷 기업들은 이후에 큰 성장을 이루었고, 몇 번의 터치로 휴대전화의 스크린을 조작하거나 거대한 도서관의 자료를 즉각적으로 검색하고 수 천 마일 밖에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세상에 미래를 보여주는 놀라운 역할을 해내고 있다. 이런 산업의 부흥은 2010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그런데, 이런 실리콘 벨리가 이제는 고인물이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놀랄만한 일이지만, 그들은 실리콘 벨리의 혁신률이 수 십년 동안 계속 느슨해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페이팔의 창업자이자, 페이스북 최초의 외부 투자자였던 피터 시엘은 미국에서의 혁신은 "이미 사면초가가 되어 죽기 전의" 상황에 있다고 말한다. 전 분야의 기술자들 또한 그와 같은 생각을 하며 낙심하고 있다. 일부 경제학자 단체들 조차도 과거와 비교했을 때 오늘날 혁신이라는 이름은 경제학적으로 그렇게 명확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 ... ]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처리능력을 활용한 혁신의 산물들이 급격하게 성장해나가고 있다. 컴퓨터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막 첫 걸음을 떼고 있다. 컴퓨터 게임은 이제 몸짓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할 정도가 되었고, 이는 이제 비즈니스 세계에서 더 많이 활용될 것이다. 3D 프린터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배열을 가지고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곧 인체 조직이나 다른 생체 물질을 생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혁신 비관주의자라면 이들을 "그림의 떡"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다. 하지만 기술주도성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거나 점차 위축하는 추세 둘 중 하나로 보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은 그동안의 역사에서 일어난 일과는 서로 다르다. 오히려 이는 밀물과 썰물의 관계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시카고 대학의 채드 시벌슨 교수는 19세기 말 전기산업이 등장하던 시대의 생산성 증가는 상당히 단계적으로 일어났다고 지적한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전기발명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정작 성장은 더디었지만, 이내 곧 급성장했다는 것이다.